가습기살균제의 제조·판매 과정과 피해규모 등
조사를 철저히 하도록 하겠습니다.
(2021.02.19 기준)피해사망자
1,629명
(2021.02.19 기준)피해신고자
7,284명
제품사용자
350~400만 명
건강피해자
49~56만 명
사건개요
1994년 ~ 2018년 9월 14일
1994 |
|
---|---|
1995 |
|
2000 |
|
2001 |
|
2006 |
|
2011 |
|
2014 |
|
2016 |
|
2017 |
|
2018 |
|
2019 |
|
[피해보고]
- 간독성, 신경독성, 심혈관독성, 면역계 독성, 피부과민성, 유전독성, 발암성 등
- 폐노출, 코 노출, 천식, 부비동엽 등 피해호소, 기관지 노출, 후두노출, 전신흡수, 피부침착
[정부규제 인정질환]
1폐 손상(2014년부터)
2태아 피해(2017년 1월부터)
3천식(2017년 12월부터)
[구제계정(기업기금) 대상질환]
1정부구제 폐손상3단계, 태아/천식불인정중 일부
2소아간질성폐질환
3성인간질성폐질환
4기관지확장증
5독성간염
6폐렴
가습기속에 있던 살균제 미세입자가 우리 몸으로 들어가는 과정
998 만 개 (17년 간)
건강피해자
49 ~ 56만 명
피해신고자(2021.02.19 기준)
7,284명
제품사용자
350 ~ 400만 명
피해사망자(2021.02.19. 기준)
1,629명
7,284명
피해신고는
전체의 1.2~1.3%
998만개
(17년간 43종류의
제품이 판매)
4만명
중증피해자
(추정)
49만~56만
전체 피해자
(제품사용자의 14%)
4,114명
정부인정자는
전체의 0.17~0.19%
진상규명
피해대책
재발방지
가습기살균제에 대한 피해자 및 사고 관련자 또는 이와 관련한 내용을 알고 계시는 분들의 연락을 기다립니다
전화 : 02-6450-3128. 이메일 : ihlee0816@korea.kr